▣ 사계절 차량관리법
★봄
봄철 차량관리는 겨울동안 쌓였던 묶은 때를 깨끗이 털어낸다는 의미에서 구석구석
빠짐없이 세척해 주어야 합니다.
■ 차체는 주행장치를 중심으로 물세척을 잘해주어야합니다.
겨울철에 눈길에 뿌려진 제설제의 주성분은 소금으로 자동차의 하체를 녹슬게 하는
원인이 됩니다.
세차 후 여름철의 습기로 인한 부식방재를 위해 차의 밑 부분을 페인트로 도색하거나
언더코팅을 하면 더욱 좋습니다.
■ 기온이 올라가면 냉각성능에 문제가 발생되므로 냉각수, 냉각수 호스 등을 철저히 점검 합니다.
요즈음은 4계절용 부동액을 사용하므로 그 양을 점검하여 부족하지 않다면 교환할 필요없이 그대로 사용하여도 좋습니다.
■ 타이어의 마모나 상처에 주의합니다.
눈길에서는 모르는 사이에 돌에 받치거나 타이어의 접지면이 크게 잘려나가는 수도 있습니다. 타이어의 옆면의 손상시 고속 주행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여름
여름철 차의 이상은 엔진 과열이 대부분입니다.
■ 여름철에는 엔진열 또는 대기온도의 상승으로 인한 냉각수의 증발이 많으므로 냉각수의 양과 냉각수의 호스를 주의깊게 점검합니다.
냉각수 호스는 외관상으로 양.부의 판단이 어렵지만, 호스를 손가락으로 눌러보아서 탄력이 없고, 호스의 끝부분이 갈라진 것은 미리 교환해주는것이 좋습니다.
■ 라디에이터나 라디에이터 앞 부위에 있는 에어컨 콘덴서의 표면이 오염되지 않았는가 점검하고 오염되어 있으면 물을 뿌려 깨끗하게 닦아 냅니다.
■ 에어컨은 냉매가스의 양이 적절한지 점검합니다.
에어컨 작동시 매캐한 냄새가 나는 경우에는 공기 유입 통로에 먼지나 곰팡이가 끼어 있는 것이므로 청소를 해주어야 합니다. 냄새는 시중에 나와 있는 에어컨 살균탈취제를 사용하고 청소는 카센타나 에어컨 정비업체에서 전문적인 세척제를 사용하여 해결합니다.
■ 여름철의 자동차는 자외선이 강해져 차량의 표면도장이 변색됩니다.
자외선과 열은 차체를 손상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자외선방지 왁스를 구입하여 월 1~2회씩 발라주며 차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가을
가을철의 자동차 관리는 여름철의 연장으로 보면 됩니다.
■ 더위와 장마로 지친 자동차를 손보아야 할 계절입니다.
여름철 피서로 바닷가를 운행한 직후 자동차의 세차를 게을리 하셨다면 염분으로 인한 차체의 부식촉진을 막기 위해 차체의 구석진 부분까지 말끔히 씻어내 주어야 합니다.
★겨울
겨울은 다른 계절보다 세심한 차량관리와 점검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차량의 컨디션을 최적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 냉각수가 얼어서 엔진이 동파되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엔진 냉각수는 대개 첫 추위에 가장 얼기가 쉽다(10월말에서 11월초). 그러므로 첫 추위가 오기 전에 부동액을 넣도록 해야 합니다.
부동액은 물과 4:6의 비율로 혼합해서 넣어야 하나 편의상 5:5의 비율로 넣고 있는 것이 보통입니다. 이미 4계절용 부동액이 주입되어 있더라도 봄, 여름, 가을 동안 물을 계속적으로 보충하였다면 새로 주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 도어나 트렁크가 얼어붙었을 경우 억지로 문을 열게 되면 가장자리의 고무부분이 찢어질 수 있습니다. 도어나 트렁크의 접촉부분에 오일을 살짝 발라주어 수분에 의해 도어나 트렁크가 얼어붙지 않도록 합니다.(열쇠구멍에도 약간의 오일을 주유해 놓으면 열쇠구멍이 얼어서 도어가 열리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차체에는 왁스칠을 충분히 해주어야 합니다.
왁스칠은 차체를 보호하는 의미도 있으나 먼지나 눈이 자동차에 쌓였을 때 쉽게 제거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습니다.
■ 겨울철 추운 곳에 주차할 때에 양지쪽에 주차시키면 시동할 때 엔진실의 냉기를 피할 수 있어 좋습니다.
■ 워셔탱크의 워셔액 농도를 점검합니다.
워셔액 농도가 부족하면 워셔탱크가 동파될 수 있으므로 물은 보충하지 않는다.
■ 눈이 많이 올 때를 대비하여 스노우 타이어와 체인을 준비합니다.
눈길에서의 사용은 스노우타이어를, 빙판길에서는 체인을 사용합니다. 일반 타이어를 스노우 타이어로 바꿀 때 에는 네 바퀴 모두 교환하고 예비타이어도 스노우 타이어로 준비하면 편리합니다.
■ 체인은 구동바퀴에만 장착합니다.